헬싱키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싱키 대학교는 1640년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에 의해 핀란드 투르쿠에 설립된 왕립 오보 아카데미를 전신으로 하는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1828년 헬싱키로 이전하면서 핀란드 제국 알렉산데르 대학교로 개칭되었고, 1917년 핀란드 독립과 함께 현재의 헬싱키 대학교가 되었다. 현재 11개의 학부, 500명의 교수진, 약 40,00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 최고의 다학제 연구 대학 중 하나로 꼽힌다. 헬싱키 대학교는 4개의 주요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19세기 핀란드의 문화, 정치, 법률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 제국 - 잉그리아
잉그리아는 발트해 동남부 지역의 역사적 명칭으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러시아에 귀속되었으며, 잉그리아 핀란드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다 소련 시기 강제 이주와 탄압을 겪고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핀란드로의 이주가 허용되었다. - 헬싱키 대학교 - 핀란드 국립도서관
핀란드 국립도서관은 Finna, Digi, Finto 등의 데이터베이스 및 KANTO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며 핀란드 전역의 자료 검색, 디지털 자료 열람, 서지 정보 등을 제공한다. - 헬싱키 대학교 - 라르스 알포르스
핀란드의 수학자 라르스 알포르스는 복소해석학에 크게 기여한 공로로 제시 더글러스와 함께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복소해석학 분야의 표준 교재인 《복소해석학》을 저술했다.
헬싱키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토 (핀란드어) | Opiskelu ja opettaminen – yliopiston sydän |
모토 (한국어 번역) | 배움과 가르침 - 대학의 핵심 |
설립일 | 1640년 |
유형 | 공립 대학 |
기부금 | 약 20억 유로 |
총 직원 수 | 8,120명 (2020년) |
교직원 수 | 4,717명 (2020년) |
총 학생 수 | 31,600명 (2020년) |
학부생 수 | 16,090명 (2020년) |
대학원생 수 | 10,673명 (2020년) |
박사 과정생 수 | 4,548명 (2020년) |
위치 | 헬싱키 |
국가 | 핀란드 |
캠퍼스 | 도시 |
색상 | 검정색과 흰색 |
제휴 | 유로파이움 유럽 연구 대학 연맹 (LERU) 북극 대학 (UArctic) 우나 에우로파 (Una Europa) |label=Unica |
웹사이트 | 헬싱키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총장 | 카를레 하메리 |
총장 | 사리 린드블롬 |
2. 역사
헬싱키 대학교의 역사는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 시기 (1640-1828)'''
헬싱키 대학교의 전신인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는 1640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에 의해 투르쿠에 설립되었다. 오보 대성당 학교를 모체로 하여 설립되었으며, 웁살라 대학교와 타르투 대학교에 이어 스웨덴 제국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대학교였다.
'''핀란드 제국 알렉산데르 대학교 시기 (1828-1919)'''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의 핀란드 대공국이 되면서, 대학교는 알렉산드르 1세의 지원을 받아 확장되었다. 1827년 투르쿠 대화재 이후 1828년 핀란드 대공국의 수도인 헬싱키로 이전하면서 ''핀란드 제국 알렉산데르 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시기 대학교는 빌헬름 폰 훔볼트의 이상을 따르는 공동체이자 핀란드 국가 정체성 발달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요한 빌헬름 스넬만,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 엘리아스 뢴로트, 자크리스 토펠리우스 등 19세기 핀란드의 주요 인물들이 대학에서 활동했다.
'''헬싱키 대학교 시기 (1919-현재)'''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하면서 대학교는 현재의 ''헬싱키 대학교''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핀란드 독립 이후, 대학교는 국가 건설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복지 국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간기에는 핀란드어 사용 증진 문제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 20세기 동안 헬싱키 대학교의 학술 연구는 유럽 최고 수준에 도달했으며, 라르스 알포르스, A.I. 비르타넨, 라그나르 그라니트 등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의 공습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2. 1. 오보 왕립 아카데미 (1640-1828)


대학의 첫 번째 전신인 오보 대성당 학교는 아마도 1276년에 교회의 봉사자가 될 소년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되었을 것이다. 1640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1626–1689)이 투르쿠(스웨덴어: 오보)에 오보 쿵리가 아카데미(Regia Academia Aboensisla)를 설립하면서 학교의 상위 과정이 새로운 대학의 핵심을 형성했고, 하위 과정은 문법 학교를 형성했다. 이는 웁살라 대학교와 에스토니아 타르투 대학교의 전신인 도르파트의 아카데미아 구스타비아나에 이어 스웨덴 제국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대학교였다.
핀란드의 옛 수도 투르쿠(Turku, Åbo)에 1640년 스웨덴 통치하에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에 의해 왕립 오보 아카데미(Åbo Kungliga Akademisv, Turun akatemiafi)가 설립되었다. 이 대학교는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2. 2. 핀란드 제국 알렉산데르 대학교 (1828-1919)
오보 대성당 학교는 1276년에 교회의 봉사자가 될 소년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40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1626–1689)이 투르쿠(스웨덴어: 오보)에 오보 쿵리가 아카데미(Regia Academia Aboensisla)를 설립하면서 학교의 상위 과정이 새로운 대학의 핵심을 형성했고, 하위 과정은 문법 학교를 형성했다.
1809년부터 1917년까지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핀란드 대공국 시기에, 대학교는 두 번째 시기를 맞이했다. 1809년에 핀란드 대공국이 설립되자, 대공 알렉산드르 1세는 대학을 확장하고 상당한 자금을 지원했다. 1827년 투르쿠 대화재 이후, 1828년에 핀란드 대공국의 새로운 행정 중심지이자 수도인 헬싱키로 국내 고등 교육이 이전되었고, 대학의 은인을 기려 ''핀란드 제국 알렉산데르 대학교''(Imperial Alexander University in Finland)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수도에서 대학교의 주요 임무는 대공국의 공무원을 교육하는 것이었다.
대학교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인류와 그들의 생활 환경을 연구하며 과학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빌헬름 폰 훔볼트의 이상을 따르는 공동체가 되었다. 1828년에 제정된 새로운 대학 정관은 "핀란드 내 과학과 인문학의 발전을 촉진하고, 나아가 황제와 조국을 위해 젊은이들을 교육하는 것"을 대학의 임무로 정의했다.
알렉산데르 대학교는 완전한 독립 핀란드 국가의 탄생과 핀란드 정체성 발달을 촉진한 국가 생활의 중심지였다. 19세기 핀란드의 위대한 인물인 요한 빌헬름 스넬만,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 엘리아스 뢴로트, 자크리스 토펠리우스는 모두 대학 활동에 참여했다. 대학교는 19세기 핀란드의 주요 문화, 정치, 법률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민족주의 및 자유주의 문화 운동, 정당, 학생 단체의 놀라운 ''원동력''(primum mobile)이 되었다.
19세기 대학 연구는 수집 중심에서 실험적, 경험적, 분석적인 방식으로 변화했다. 대학의 더 과학적인 접근 방식은 전문화를 이끌어냈고 새로운 학문을 창출했다. 과학 분야가 발전하면서 핀란드는 더욱 많은 학문적 지식과 고도로 교육받은 사람들을 얻게 되었고, 그중 일부는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이나 정부에 진출했다.

2. 3. 헬싱키 대학교 (1919-현재)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하면서 대학교는 현재의 헬싱키 대학교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13] 핀란드가 완전한 독립을 선언한 후, 대학교는 국가 건설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복지 국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13] 대학교의 학자들은 신생 국가의 국제 관계와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으며, 국가 정치와 평등을 위한 투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3]전간기 동안, 대학교는 핀란드어 사용을 증진하려는 사람들과 스웨덴어 사용을 지지하는 사람들 사이의 갈등의 중심지였다.[10] 베이뇌 타너는 스웨덴어 사용을 옹호하는 가장 적극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다.[11] 핀란드 스웨덴 인민당은 스웨덴어를 옹호하는 153,914개의 서명을 모아 1934년 10월 의회와 정부에 전달했다.[10]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의 학자들은 헬싱키 대학교에서 스웨덴어의 역할 축소가 북유럽 통합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는 서한을 각국 주재 핀란드 외교 대표부에 보냈다.[10]
20세기 동안 헬싱키 대학교의 학술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유럽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라르스 알포르스의 필즈상 수상 (1936년), A.I. 비르타넨 교수의 노벨 화학상 수상 (1945년), 라그나르 그라니트 교수의 노벨 생리학·의학상 공동 수상 (1967년)과 같은 국제적인 인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계속 전쟁 중이던 1944년 2월 27일, 소련의 공습으로 대학교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학교 연구는 핀란드인의 생활 환경 개선과 사회 및 경제 구조의 주요 변화를 지원하는 데 집중되었다. 대학교는 또한 현대 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과학의 발전으로 헬싱키 대학교에는 많은 새로운 학문 분야와 학부가 생겨났다. 현재 대학교는 11개의 학부, 500명의 교수진, 약 40,00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 최고의 다학제 연구 대학 중 하나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3]
2014년 3월, 헬싱키 대학교에서 대량 살인을 계획한 혐의로 2명이 체포되었고, 2014년 6월 3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4][15]
3. 조직
헬싱키 대학교는 11개의 학부와 여러 독립 연구소 및 기타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학부
헬싱키 대학교는 11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학부들은 대학교의 역사와 설립 당시의 학문 체계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열된다.- 신학부 (1640년 설립)
- 법학부 (1640년 설립)
- 의학부 (1640년 설립)
- 인문학부 (1640년 철학부 설립, 1852년 분리, 1863년 독립 인문학 섹션, 1992년 독립 학부)
- 이학부 (1640년 철학부 설립, 1852년 분리, 1863년 독립 이학 섹션, 1992년 독립 학부)
- 약학부 (1640년 철학부 설립, 2004년 이학부에서 분리)
- 생물환경과학부 (1640년 철학부 설립, 2004년 이학부에서 분리)
- 교육학부 (1974년 독립 섹션, 1992년 독립 학부, 2004년 재편 및 명칭 변경, 2017년 재편 및 명칭 변경)
- 사회과학부 (1945년 설립)
- 농림학부 (1898년 설립, 1924년 독립 학부)
- 수의학부 (1945년 독립 대학으로 설립, 1995년 헬싱키 대학교에 통합)
3. 2. 연구소 및 기타 기관
헬싱키 대학교는 여러 독립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핀란드 국립 도서관과 헬싱키 대학교 도서관이 주목할 만하다. 헬싱키 고등 연구원은 헬싱키 대학교 내의 또 다른 독립 연구소로,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 연구소를 모델로 한다. 이전 원장으로는 라이모 베이뤼넨(2002–2004)과 유하 시흐볼라(2004–2009)가 있다.헬싱키 대학교 내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 알렉산테리 연구소 – 러시아 및 동유럽에 관한 연구, 학습 및 전문 지식의 국립 센터
- 크리스티나 젠더 연구소
- 환경 변화 연구 부서
- 에릭 카스트렌 국제법 및 인권 연구소
- 헬싱키 경제 연구 센터(HECER) – 헬싱키 대학교, 헬싱키 경제대학 및 한켄 경제대학의 공동 사업
- 헬싱키 정보 기술 연구소(HIIT) – 헬싱키 대학교와 알토 대학교의 공동 연구소
- [https://www.helsinki.fi/en/helsinki-institute-of-life-science 헬싱키 생명 과학 연구소](HiLIFE) - 헬싱키 대학교 전체의 생명 과학 연구를 지원하고 조정한다. HiLIFE는 세 개의 운영 부서를 감독한다.
- * [https://www.helsinki.fi/en/hilife-institute-of-biotechnology 생명공학 연구소](BI)
- * 핀란드 분자 의학 연구소(FIMM)
- * [https://www.helsinki.fi/en/hilife-neuroscience-center 신경과학 센터](NC)
- 헬싱키 물리학 연구소
- 롤프 네반린나 연구소 – 수학, 컴퓨터 과학 및 통계학 연구소

핀란드 국립 도서관은 핀란드 최고의 연구 도서관이자 헬싱키 대학교 도서관 시스템의 주요 분관이다.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학술 도서관이자 헬싱키 대학교에서 가장 큰 독립 기관 중 하나이다. 핀란드의 인쇄된 국가 유산과 소장하고 있는 고유 컬렉션의 수집, 설명, 보존 및 접근성을 담당한다. 또한 국립 도서관은 도서관 부문의 국가 서비스 및 개발 센터 역할을 하며 이 분야의 국내 및 국제 협력을 증진한다.

헬싱키 대학교의 본관 도서관은 학생들이 연구와 학습에 사용한다. 대학교 본관에서 시내 중심가로 몇 블록 떨어진 곳에 위치한 새로운 본관 도서관은 2012년 카이사의 집(Kaisa House)에 문을 열었다. 이 새로운 도서관은 학부 도서관과 시내 중심 캠퍼스의 4개 분산된 단과 대학 도서관을 통합하여 약 15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게 되었다.[27] 안티넨 오이바 건축가가 설계한 새로운 건물의 건축은 호평을 받았으며[27][28] 여러 상을 수상했다.[29]
헬싱키 대학교 박물관은 헬싱키 대학교의 박물관이며, 2014년 6월까지 상원 광장 북동쪽 모퉁이에 있는 ''스넬만린카투''에 위치해 있었다. 박물관의 주요 전시는 2015년에 대학교 본관으로 이전했다.
헬싱키 대학교 박물관은 2003년에 헬싱키 대학교 역사 전문의 전 대학교 박물관, 의학사 박물관, 수의학사 박물관, 치의학사 박물관, 공예 과학 컬렉션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새로운 박물관 연합을 보완하기 위해, 오늘날 핀란드 자연사 박물관에 속하는 광물 캐비닛이 아르페아눔 건물에 있는 원래 위치로 돌아왔다. 박물관은 또한 특별히 설계된 공간에서 매년 한두 개의 임시 전시회를 개최한다. 아르페아눔 건물 내 박물관 전시는 2014년 6월에 문을 닫았다. 새로운 주요 전시는 2015년 3월 본관에서 개관했다.
대학교 박물관은 대학교의 귀중한 박물관 컬렉션과 재산, 즉 오래된 교육 및 연구 장비, 가구 및 예술 작품을 보존하고 보존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박물관은 대학교 시설에 보관된 모든 귀중품의 색인 등록부를 유지한다. 또한 박물관은 대학교의 역사와 의학 과학의 역사와 관련된 도서관, 기록 보관소 및 사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핀란드 자연사 박물관은 헬싱키 대학교 산하의 연구 기관이다. 전 세계에서 수집된 표본으로 구성된 국가 식물학, 동물학, 지질학 및 고생물학 컬렉션을 관리한다. 이 컬렉션은 과학적, 공공 정보 제공 및 교육 목적으로 활용된다.
4. 캠퍼스
헬싱키 대학교는 4개의 주요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원래는 헬싱키 중심부에 대학교 전체가 위치해 있었지만, 1930년대부터 대학교가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다른 지역에도 건물과 부지를 확보하게 되었다.
헬싱키의 역사적인 중심지, 원로원 광장, 크루운운하카 지역을 중심으로 뻗어 있는 시티 센터 캠퍼스는 헬싱키 대학교의 행정 중심지이며 헬싱키에서 가장 많은 학부들이 집중되어 있다. 1827년 투르쿠 대화재 이후 니콜라이 1세 황제는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를 핀란드 대공국의 새로운 수도인 헬싱키로 옮기도록 명령했고, 그 다음 해부터 핀란드의 제국 알렉산더 대학교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건축가 칼 루드비히 엥겔은 원로원 광장 옆에 제국 원로원을 마주보는 엠파이어 스타일의 본관을 설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본관은 1832년에 완공되었다. 투르쿠 화재에서 얻은 교훈 덕분에 도서관은 다른 건물과 분리되어 건설되었다.[26]
본관을 비롯한 캠퍼스의 다른 건물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 폭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전쟁 이후 재건되었다.[26]
쿰풀라 캠퍼스는 헬싱키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4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헬싱키 대학교 이학부를 수용하고 있다. 이 캠퍼스에는 물리학과, 화학과, 수학 및 통계학과, 전산학과, 지구과학 및 지리학과가 있다. 1978년 헬싱키시가 쿰풀라 지역을 대학에 임대하면서 대학교 학과들이 쿰풀라에 위치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물리학과의 가속기 연구소가 쿰풀라 암반에 채석되었고, 1987년에는 쿰풀라 식물원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가 되어서야 본격적인 건설 작업이 시작되어 이 지역을 중요한 캠퍼스로 탈바꿈시켰다.
화학과와 VERIFIN(화학 무기 금지 협약 검증을 위한 핀란드 연구소)을 수용하는 건물인 Chemicum과 물리학, 지질학 및 지리학 시설을 제공하는 Physicum은 핀란드 노벨상 수상자인 A. I. 비르타넨의 이름을 딴 광장을 둘러싸고 쿰풀라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쿰풀라 캠퍼스 도서관도 피시쿰에 위치해 있다. 2004년에 완공된 Exactum은 지진학, 전산학 및 수학 과목을 위한 시설과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캠퍼스는 6,000명의 학생과 1,000명의 교직원을 위한 학습 및 연구 시설을 제공한다. 핀란드 기상 연구소는 2005년에 이 지역으로 이전했다. 그 건물은 Dynamicum으로 알려져 있다.
5. 학문
19세기 대학 연구는 수집 중심에서 실험적, 경험적, 분석적인 방식으로 변화했다. 대학의 더 과학적인 접근 방식은 전문화를 이끌어냈고 새로운 학문을 창출했다. 과학 분야가 발전하면서 핀란드는 더욱 많은 학문적 지식과 고도로 교육받은 사람들을 얻게 되었고, 그중 일부는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이나 정부에 진출했다.[13]
20세기 동안 헬싱키 대학교의 학술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유럽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라르스 알포르스가 받은 필즈상 (1936년), A.I. 비르타넨 교수가 받은 노벨 화학상 (1945년), 라그나르 그라니트 교수가 공동 수상한 노벨 생리학·의학상 (1967년)과 같은 국제적인 인정을 통해 나타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학교 연구는 핀란드 생활 환경 개선과 사회 및 비즈니스 구조의 주요 변화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대학교는 또한 현대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에 기여했다.
과학 발달의 진보는 헬싱키 대학교에 많은 새로운 학문 분야와 학부를 만들었다. 현재 대학교는 11개의 학부, 500명의 교수진, 그리고 약 40,00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교는 유럽 최고의 다학제 연구 대학 중 하나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13]
헬싱키 대학교 내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 알렉산테리 연구소 – 러시아 및 동유럽에 관한 연구, 학습 및 전문 지식의 국립 센터
- 크리스티나 젠더 연구소
- 환경 변화 연구 부서
- 에릭 카스트렌 국제법 및 인권 연구소
- 헬싱키 경제 연구 센터(HECER) – 헬싱키 대학교, 헬싱키 경제대학 및 한켄 경제대학의 공동 사업
- 헬싱키 정보 기술 연구소(HIIT) – 헬싱키 대학교와 알토 대학교의 공동 연구소
- [https://www.helsinki.fi/en/helsinki-institute-of-life-science 헬싱키 생명 과학 연구소](HiLIFE) - 헬싱키 대학교 전체의 생명 과학 연구를 지원하고 조정한다. HiLIFE는 세 개의 운영 부서를 감독한다.
- [https://www.helsinki.fi/en/hilife-institute-of-biotechnology 생명공학 연구소](BI)
- 핀란드 분자 의학 연구소(FIMM)
- [https://www.helsinki.fi/en/hilife-neuroscience-center 신경과학 센터](NC)
- 헬싱키 물리학 연구소
- 롤프 네반린나 연구소 – 수학, 컴퓨터 과학 및 통계학 연구소
5. 1. 대학 랭킹
평가 기관 | 2023/2024년 순위 |
---|---|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18] | 101–150위 |
타임스 고등 교육 세계 대학 랭킹(THE)[20] | 121위 |
THE–QS 세계 대학 랭킹[19] | 115위 |
U.S. 뉴스 & 월드 리포트[21] | 99위 |
상하이 자오퉁 대학에서 발표한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서 헬싱키 대학교는 세계 101~150위에 랭크되었다.[22] 2023년 타임스 고등 교육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세계 121위를,[23] 2024년 THE–QS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115위를 기록했다.[24]
5. 2. 국제 석사 학위 프로그램
헬싱키 대학교는 영어로만 진행되는 다양한 석사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5] 이 프로그램들은 120 ECTS 학점으로 구성되며, 2년의 전일제 학습으로 완료된다. 일부 프로그램은 헬싱키 대학교와 다른 핀란드 및 해외 대학들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대학 교육을 규정하는 국내 법률을 준수하며,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6. 학생 생활
헬싱키 대학교는 여러 캠퍼스에 걸쳐 다양한 학생 생활을 제공한다. 메헬라티 캠퍼스는 의과대학과 함께 메헬라티 병원 지구의 일부로, 의학 연구 및 교육의 중심지이다. 비키 캠퍼스는 헬싱키 시내 중심에서 북동쪽으로 약 8km 떨어진 비키 지역에 있으며, 농림학부, 생명과학부, 수의학부, 약학부가 위치해 있다. 이곳은 유럽 기준에서도 생명과학 분야의 중요한 거점으로, "그린 캠퍼스"라고도 불린다.
6. 1. 학생회

헬싱키 대학교 학생회(HYY)는 1868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회원은 32,000명이며, 수억 유로의 자산을 보유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학생 단체 중 하나이다.[30] 특히 헬싱키 시내에 상당한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 학생회는 19세기 민족주의 운동부터 1960년대 신좌익 활동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학생 정치의 중심에 있었다. 학생회 의결 기구는 학부 조직, 학생 국가, 주류 정당과 관련된 정당들로 구성된다.
6. 2. 학생 국가
학생 국가는 학생들에게 과외 활동을 제공하는 학생 단체이다. 학부 기반 단체와 함께, 학생 국가는 학생 사회 생활의 주요 노드 중 하나를 제공한다. 헬싱키 대학교의 학생 국가는 대학교법에서 특별한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핀란드의 역사적 지역 또는 주를 대표하는 15개의 학생 국가가 있으며, 이 중 4개는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지역을 대표한다. 가입은 선택 사항이다.[1]
7. 주요 동문
이름 | 생애 | 상세 정보 |
---|---|---|
엘리 사우리오 | 1899–1966 | 가정 경제학 교수 |
유카 네바키비 | 1931– | 정치사 교수 |
데릭 퓨스터 | 1962– | 역사학자 |
조이 울프람 | 1989– | 나노 과학자, 이학사 및 이학 석사 |
벵트 홀름스트룀 | 1949– | 경제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2016) |
리사 아흐티 | 1937– | 약리학, 핀란드의 약리학 연구 개척자. 1999년 알베르트 우오코 상 수상자.[31] |
파울리 케투넨 | 1953– | 정치사 교수 |
라스 알포르스 | 1907–1996 | 수학자, 1936년 필즈상을 수상한 최초의 두 사람 중 한 명 |
헬미 아르네베르그-펜티 | 1889–1981 | 1921년부터 1922년, 1925년부터 1929년까지 핀란드 여성 보조 단체인 로타 스바르드 의 의장 |
에마 이렌 아스트룀 | 1847–1934 |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학 졸업자 |
탄크레드 보레니우스 | 1885–1948 | 미술사학자이자 외교관 |
안데르스 크비데니우스 | 1729–1803 | 성직자, 경제학자, 정치가 |
안데르스 도너 | 1854–1938 | 천문학자 |
프레드릭 엘프빙 | 1854–1942 | 식물학자 및 식물 생리학자 |
구스타프 엘프빙 | 1908–1984 | 수학자이자 통계학자. 최적 설계 실험 분야의 선구자 |
엘사 에냐얘르비-하비오 | 1918–1951 | 철학 박사 (1932), 강사, 작가, 정치가. 많은 기관의 의장 |
엘린 칼리오 | 1859–1927 | 핀란드 여성 체조 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짐 |
라그나르 그라니트 | 1900–1991 | 의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1967) |
후고 귈덴 | 1841–1896 | 천문학자 |
타르야 할로넨 | 1943– | 변호사 (법학 석사)이자 전 핀란드 대통령 (2000–2012) |
로지나 하이켈 | 1842–1929 | 최초의 핀란드 여성 의사이자 페미니스트 |
야코 힌티카 | 1929–2015 | 철학자이자 논리학자 |
하리 홀케리 | 1937–2011 | 전 핀란드 총리 (1987–1991) |
리타 야야노야 | 1943– | 사회학자, 학자 |
유카 예른발 | 1963– | 진화 발달 생물학자 |
베사 칸니아인 | 1948– | 경제학자 |
카리 카르후넨 | 1915–1992 | 수학자 |
우르호 칼레바 케코넨 | 1900–1986 | 전 핀란드 총리 (1950–1953, 1954–1956) 및 전 핀란드 대통령 (1956–1982) |
엘리나 칼라 | 1960– | 학자, 작가 |
알렉시스 키비 | 1834–1872 | 작가 |
닐스 코크 | 1924–2011 | 외과 의사이자 Kock pouch 시술 개발자 |
비요른 쿠르텐 | 1924–1988 | 고생물학자 |
베르너 크리글슈타인 | 1941– | 시카고 대학교 연구원, 풀브라이트 학자, 철학자, 작가, 배우 |
야를 린데베르크 | 1876–1932 | 수학자 |
에른스트 린델뢰프 | 1870–1946 | 수학자 |
엘리아스 뢴로트 | 1802–1884 | 칼레발라 수집가 |
롤프 네반린나 | 1895–1980 | 수학자 |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 | 1832–1901 | 지질학자이자 북극 탐험가 |
구스타프 노르덴셸드 | 1868–1895 | 메사 베르데 유물을 핀란드 국립 박물관에 기증 |
요르마 올릴라 | 1950– | 전 노키아 회장, 로열 더치 쉘 비상임 회장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 1870–1956 | 전 핀란드 총리 (1918, 1944–1946) 및 핀란드 대통령 (1946–1956) |
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 1883–1942 | 전 핀란드 대통령 (1925–1931) |
리스토 류티 | 1889–1956 | 전 핀란드 총리 (1939–1940) 및 핀란드 대통령 (1940–1944) |
에사 사아리넨 | 1953– | 철학자 |
패이비 세탤래 | 1943–2014 | 역사학자이자 교수 |
장 시벨리우스 | 1865–1957 | 작곡가 |
유하 시흐볼라 | 1957–2012 | 철학자이자 역사학자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1888–1964 | 문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1939) |
카를로 유호 스토흘베르 | 1865–1952 | 전 핀란드 대통령 (1919–1925) |
카를 프리티오프 순드만 | 1873–1949 | 천문학자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 1861–1944 | 전 핀란드 총리 (1930–1931) 및 핀란드 대통령 (1931–1937) |
테이보 테이바이넨 | 1970– | 세계 정치학 교수 |
야나 토이바리-비이탈라 | 1964–2017 | 핀란드 이집트학회 회장 |
자카리아스 토펠리우스 | 1818–1898 | 작가이자 역사학자 |
리누스 토르발스 | 1969– | 리눅스 및 Git 제작자이자 리눅스 커널의 주요 개발자 |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 | 1895–1973 | 화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1945) |
유시 V. 코이비스토 | 1965– | 경제학자이자 교육자 |
에드바르드 아우구스트 바이니오 | 1853–1929 | 지의류학자; 1870년부터 1880년까지 학생; 1880년부터 1906년까지 식물학 부교수 |
브로르-에릭 발레니우스 | 1943– | 스포츠 해설가 |
미카 발타리 | 1908–1979 | 소설가 |
게오르그 헨리크 폰 브라이트 | 1916–2003 | 철학자이자 핀란드 아카데미 회장 |
에라토 코자쿠-마르쿨리스 | 1949– | 키프로스 외무부 장관 |
유하 헤르네스니에미 | 1947–2023 | 신경외과 의사 |
헬비 포우타수오 | 1943–2017 | 교사, 번역가, 편집자, 정치가 |
에바-카리나 아로넨 | 1948–2015 | 작가, 언론인 |
피가 케스키탈로 | 1972– | 사미족 정치인이자 학자 |
야코 수올라티 | 1918–1987 | 고전학 학자이자 역사 교수 |
데릭 로시 | 1966– | 줄기 세포 생물학자이자 모더나 공동 창립자 |
클라우스 수오멜라 | 1888–1962 | 연극 예술 및 체조 (1912년 올림픽 체조 은메달리스트) |
라우라 마리아 하르마야 | 1881–1954 | 경제학자 |
야나 백 | 1961– | 핀란드 식물 생태학자이자 헬싱키 대학교 산림-대기 상호 작용 교수 |
구스타프 람스테드 | 언어학자, 핀란드 초대 주일 공사 | |
헨카 블랙스미스 | 베이시스트 (칠드런 오브 보돔) | |
빌레 프리만 | 기타리스트 (인소무니엄) | |
마티 반하넨 | 정치인, 전 핀란드 총리(제61대) | |
마리 키비니에미 | 정치인, 핀란드 총리 | |
안넬리 야텐마키 | 정치인, 총리 |
8. 역대 총장 및 학장
헬싱키 대학교의 역대 총장(Chancellors)과 학장(Rectors)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8. 1. 총장 (Chancellors)
총장은 헬싱키 대학교의 최고 대표이다. 총장은 대학의 최고 의결 기구인 대학 평의회에서 선출된다. 대학법에 따르면, 총장의 임무는 과학을 증진하고 대학의 이익을 감시하는 것이다. 총장은 헬싱키 대학교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핀란드 정부 회의에 참석할 권한을 갖는다.이름 | 재임 기간 |
---|---|
에드바르드 옐트 | 1917년 ~ 1921년 |
안데르스 도너 | 1921년 ~ 1926년 |
후고 수올라티 | 1926년 ~ 1944년 |
안티 툴렌헤이모 | 1944년 ~ 1952년 |
페카 미르베르그 | 1952년 ~ 1962년 |
에드빈 린코미에스 | 1962년 ~ 1963년 |
파아보 라빌라 | 1963년 ~ 1968년 |
펜티 렌발 | 1968년 ~ 1973년 |
미코 유바 | 1973년 ~ 1978년 |
에른스트 팔멘 | 1978년 ~ 1983년 |
닐스 오케르-블롬 | 1983년 ~ 1988년 |
올리 레토 | 1988년 ~ 1993년 |
라우리 사크센 | 1993년 ~ 1996년 |
리스토 이하무오틸라 | 1996년 ~ 2003년 |
카리 라이비오 | 2003년 ~ 2008년 |
일카 니이니루오토 | 2008년 ~ 2013년 |
토마스 빌헬름손 | 2013년 ~ 2017년 |
카알레 해메리 | 2017년 ~ |
8. 2. 학장 (Rectors)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Helsingin yliopiston opetuksen ja opintojen eettiset periaatteet
https://www2.helsink[...]
2021-03-29
[3]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Helsinki in numbers
https://www.helsinki[...]
2021-08-20
[4]
웹사이트
University Management, University of Helsinki
https://www.helsinki[...]
2022-03-28
[5]
웹사이트
Styleguide
https://universityof[...]
2022-09-16
[6]
웹사이트
Yliopisto numeroina {{!}} Helsingin yliopisto
https://www.helsinki[...]
2024-08-21
[7]
웹사이트
Bologna Process at the University of Helsinki
http://www.helsinki.[...]
2017-11-29
[8]
문서
UNICA = "Institutional Network of the Universities from the Capitals of Europe".
[9]
뉴스
Pentagonilta jättirahoitus Helsingin yliopiston johtamaan syöpätutkimushankkeeseen
Ilta-Sanomat
[10]
웹사이트
Universitetsadresserna
http://uppslagsverke[...]
2017-11-30
[11]
웹사이트
Tanner, Väinö
http://uppslagsverke[...]
2017-11-30
[12]
웹사이트
Natten när Helsingfors skulle förintas
http://gamla.hbl.fi/[...]
2019-08-12
[13]
웹사이트
University of Helsinki
http://www.helsinki.[...]
2015-03-16
[14]
뉴스
Toinen epäillyistä: Iskua yliopistoon ei oikeasti aiottu tehdä
Helsingin Sanomat
2014-05-26
[15]
웹사이트
Duo jailed for plotting killing spree at University of Helsinki
http://www.helsinkit[...]
2015-03-16
[16]
뉴스
Historioitsija ja filosofi Juha Sihvola on kuollut
http://www.hs.fi/kul[...]
[17]
뉴스
Juha Sihvola
http://muistot.hs.fi[...]
[18]
웹사이트
ARWU World University Rankings 2034
http://www.shanghair[...]
2022-08-26
[19]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8-26
[20]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3-08-26
[21]
웹사이트
U.S. News Education: Best Global Universities 2022-23
https://www.usnews.c[...]
2023-11-23
[22]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3
http://www.shanghair[...]
[2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6
https://www.timeshig[...]
2015-03-16
[24]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24
http://www.topuniver[...]
2024-02-26
[25]
웹사이트
Master's Programmes
https://www.helsinki[...]
2019-07-03
[26]
웹사이트
Helsingin suurpommitukset ja yliopisto
http://www.museo.hel[...]
Helsinki University Museum Arppeanum
2014-04-09
[27]
뉴스
New university library a wonder of design and learning
http://www.helsinkit[...]
2014-04-07
[28]
뉴스
Valo tulvii Kaisa-kirjastoon
http://www.hs.fi/pai[...]
2014-04-07
[29]
웹사이트
Pääkirjasto Kaisa-talossa
http://www.helsinki.[...]
Helsinki University Library
2014-04-07
[30]
뉴스
HYY of Helsinki Runs a $200 Million Enterprise : University Student Union Plays Business Tycoon
https://www.nytimes.[...]
1998-05-25
[31]
간행물
Suomen Farmakologiyhdistyksen jäsenlehti
http://www.sfy.fi/TM[...]
2015-07-15
[32]
웹사이트
Helsingin yliopiston rehtoriksi Jukka Kola
http://www.helsinki.[...]
2015-03-16
[33]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024-11-15
[34]
웹사이트
Helsingin yliopiston opetuksen ja opintojen eettiset periaatteet
https://www2.helsink[...]
2021-03-29
[35]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Helsinki in numbers
https://www.helsinki[...]
2021-08-20
[36]
간행물
University Management, University of Helsinki
https://www.helsinki[...]
2022-03-28
[37]
웹사이트
Styleguide
https://universityof[...]
2022-09-16
[38]
웹사이트
Yliopisto numeroina {{!}} Helsingin yliopisto [数字で見る大学 {{!}} ヘルシンキ大学]
https://www.helsinki[...]
2024-08-21
[39]
웹사이트
Bologna Process at the University of Helsinki
https://web.archive.[...]
2017-11-29
[40]
뉴스
Pentagonilta jättirahoitus Helsingin yliopiston johtamaan syöpätutkimushankkeeseen
https://www.is.fi/ko[...]
2021-09-24
[41]
웹사이트
シベリウス生誕150周年と創立100周年を記念して世界最高峰の男声合唱団、初来日フィンランディア男声合唱団LM
https://dl.ndl.go.jp[...]
豊田市
2024-12-05
[42]
웹사이트
ヘルシンキ大学男声合唱団
https://tempoprimo.c[...]
テンポプリモ
2024-12-05
[43]
서적
同志社グリークラブ80年の歩み : Who are we…
同志社グリークラブOB会
2024-12-05
[44]
웹사이트
合唱のためのコンポジション第14番 男声合唱のため
https://sheetmusic.j[...]
全音楽譜出版社
2024-12-05
[45]
웹사이트
ショット・ミュージック株式会社|湯浅譲二 作品情報〈声/合唱のための作品〉
https://www.schottja[...]
2024-12-05
[46]
학술지
素朴で初々しいヘルシンキ大学男声合唱団
芸術現代社
2024-12-05
[47]
학술지
連載(8)アメリカの音楽地図マイ・オールド・ケンタッキー・ホーム、フォスター物語、ジュゼッペ・ディ・ステファーノ、ヘルシンキ男声合唱団
芸術現代社
2024-12-05
[48]
웹사이트
ヘルシンキ大学男声合唱団、マッティ・ヒヨッキ
https://warp.ndl.go.[...]
2024-12-05
[49]
웹사이트
公演情報
https://warp.ndl.go.[...]
2024-12-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중년기에 체중 감량하면…"만성질환 위험·사망률 크게 감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